밀링 커터에는 다양한 유형이 있지만 밀링 원리의 관점에서 볼 때 엔드 밀링과 원주 밀링의 두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으며 대표적인 도구는 평면 밀링 커터와 원통형 표면 밀링 커터입니다. 밀링량에는 그림 5-4과 같이 다음 4가지 요소가 포함됩니다.
(1) 밀링 속도"(m/min) 밀링 속도는 밀링 커터가 회전할 때의 선형 속도를 말하며 계산식은 식(2-1)과 같습니다.
(2) 이송 밀링시 이송을 표현하는 방법에는 3가지가 있습니다.
1) 회전당 이송 f(mm/r) 밀링 커터가 1회전마다 이동할 때 이송 방향을 따라 밀링 커터에 대한 공작물 사이의 거리를 말합니다.
2) 날당 이송 f(mm) 밀링 커터가 매번 한 날의 각도를 회전시킬 때 이송 방향을 따라 밀링 커터에 대한 공작물과의 상대 거리를 나타냅니다.
3) 이송 속도(mm/min) 이송 방향을 따라 공작물이 밀링 커터를 기준으로 이동하는 분당 거리를 나타냅니다. 즉, 밀링 테이블의 이송 속도입니다.
세 가지 피드 간의 관계: "v=∫n= ∫zm
공식: n -- 밀링 커터 속도, 단위 r/min 또는 r/s; z-- 커터 톱니 수입니다.
각 날의 이송은 절삭날의 강도, 절삭층의 두께, 칩 용량에 따라 선택됩니다. 회전당 이송은 가공면의 거칠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회전당 이송은 정밀밀삭과 준정밀밀삭에 선택됩니다. CNC 밀링 머신의 주요 동작과 피드 동작은 동일한 서비스에 있는 두 개의 모터에 의해 별도로 구동되므로 이들 사이에는 내부 연결이 없습니다. 날당 이송 또는 회전당 이송 ∫x 선택 여부에 관계없이 이송 속도 v는 마지막에 계산되어야 합니다.
(3) 후면 공급 칼 a. (mm) 그림5-4에서와 같이 밀링커터 축방향과 평행하게 측정된 절삭층의 크기이다. 엔드밀링의 경우 "는 절삭층의 깊이이고, 원주밀링의 경우 "는 가공할 표면의 폭입니다.
(4) 측면 공급 칼 a. (mm) 커터축 방향과 이송방향에 수직으로 측정한 커팅층의 크기입니다. 엔드 밀링,".은 가공할 표면의 너비이고, 원주 방향으로 밀링할 경우 ". 절단층의 깊이입니다.

그림 5-4 밀링 투여량의 4가지 요소
원주 밀링 b) 엔드 밀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