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p 19, 2024메시지를 남겨주세요

절삭력

절삭력
(1) 총절삭력 총절삭력이란 절삭과정에서 발생하는 힘이 피삭재와 공구에 같은 크기,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말한다. 일반인의 용어로는 절단 중 공구 절단에 대한 공작물 재료의 저항을 나타냅니다. 그림 2-6-12a에서 볼 수 있듯이 총 절삭력은 항상 절삭층, 칩층, 가공면에서 발생하는 탄성변형력과 소성변형력, 그리고 칩과 칩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구성된다. 경사면과 측면이 각각 가공된 표면입니다. 분석의 용이성을 위해 총 절삭력은 서로 수직인 세 가지 구성 요소로 나뉩니다.
1) 절삭력 F : 주운동방향의 분력. 공작기계의 동력을 확인 및 선정하고, 공작기계의 주동기구와 공구 및 치구의 강도와 강성을 확인 및 설계하는데 중요한 기초가 됩니다.
2) 역력 F: 작업 평면에 수직인 구성력. 이는 가공 정밀도와 표면 거칠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인입니다.
3) 이송력 F: 이송 이동 방향의 구성력으로, 공작물을 탄성적으로 굽히고 진동을 유발합니다. 이는 피드 메커니즘의 강도를 확인하는 주요 기초입니다.
(2) 절삭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1) 피삭재의 강도와 경도가 높을수록 전단 항복강도가 높아지고 절삭력도 커집니다. 강도와 경도가 유사한 재료의 경우 가소성과 인성이 높을수록 절삭력이 커집니다.
2) 절단량의 영향.
(1) 뒷이식칼과 피드(/)의 양을 2배로 하고 절단력을 2배로 합니다.
(2) 이송량('v')이 2배 증가하고, 절삭력이 68%~86% 증가합니다.
3) 도구의 기하학적 각도의 영향. 경사각(y)이 증가하고 변형이 감소하며 절삭력이 감소합니다. 절입각(κ,)이 증가하고 배향력(F)이 감소하며 이송력(F)이 증가합니다. 경사각(A)이 감소하고, F가 증가하고, F가 감소하며, 절삭력 F가 감소합니다. 충격은 크지 않았습니다.
4) 공구 마모의 영향. 여유각이 0이 되도록 여유각이 마모되고, 절삭날이 무뎌지며, 여유면과 가공면 사이의 돌출과 마찰이 심해져서 절삭력이 증가합니다.
5) 절삭유는 윤활 역할을 할 수 있어 공구와 공작물 사이의 마찰을 줄이고 절삭력을 줄일 수 있습니다. 6) 공구 재료의 영향. 공구 재료와 가공 재료 사이의 친화력 및 마찰 계수는 절삭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므로 공구 재료는 버섯 저항이 높고 연삭 후 표면 거칠기 값이 작고 절삭력이 작습니다.

20240919160510

20240919160923

문의 보내기

전화

이메일

문의